[자주 틀리는 맞춤법] 쉼표를 쓸까, 말까?
책 제목: 달러구트 꿈 백화점 | 지은이: 이미예
작가의 말
층마다 특별한 장르의 꿈들을 구비하고 있는 곳, 저마다 개성 있게 포장된 꿈 상자들이 진열장을 빼곡히 채우고 있는 그곳이 여러분의 마음에 들길 바란다. 또한 이 이야기가 일상을 조금이나마 풍요롭게 밝혀 매일의 숙면과 좋은 꿈을 꾸는 데 작은 보탬이 된다면 더할 나위 없는 기쁨일 것이다.
이 문단에서 자주 틀리는 맞춤법이 있을까? 맞춤법 검사기에 돌려보면 '또한' 다음에 반점을 붙이라고 나온다.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접속부사 또는 연결을 나타내는 부사어) 다음에는 반점을 씁니다.'
그리고 나오는 예시가 '결국, 그런데도, 다만, 먼저, 다음으로, 바라건대, 보건대, 그뿐만 아니라, 살피건대, 생각건대,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아무튼,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첫째, 둘째, 하지만, 한편' 등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속어('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와 이에 대응하는 '이러나, 이러므로, 이런데') 뒤에는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고 덧붙인다.
쉼표는 의외로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이다. 국립국어원이 제공하는 한국어 어문 규범 중 한글맞춤법을 찾아보자. 부록을 보면 문장부호 사용법이 나와 있는데 그중 네 번째에 쉼표(,) 항목이 있다. 첫째,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가장 흔한 경우이다. '사과, 배, 복숭아, 감' 이런 식이다.
그런데 굳이 쓰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아버지 어머니께서 함께 오셨어요.'라는 문장에서는 쉼표가 없어도 열거되는 사항이 쉽게 드러나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구분이 뚜렷하다.'가 있다.
열거하는 중 쉼표 대신 '그리고'를 넣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땐 '정욱, 재용, 성민 그리고 은길' 처럼 앞뒤로 쉼표를 빼야 한다. '그리고'가 쉼표를 대신하기 때문이다.
이후 네 번째 문항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 '첫째, 둘째, 셋째…', '먼저, 다음으로, 마지막으로…', 가 이에 해당한다. 다만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 그러므로'는 접속 부사와 쉼표의 기능이 중복되기 때문에 쓰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설명한다. 그렇다고 쉼표가 꼭 접속의 기능만 하는 건 아니므로 글쓴이의 판단에 따라 쓸 수 있다고 덧붙인다.
그렇다면 본문에서 쓰인 '또한'은 왜 접속부사로 분류되지 않을까?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그리고'는 접속부사로 정의되어 있지만 '또한'은 단순히 부사라고 나와 있다.
자주 틀리는 맞춤법을 바로잡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전적 의미부터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의 정의는 '어떠한 것을 전제로 하고 그것과 같게.' 그리고 '그 위에 더. 또는 거기에다 더.'이다. '그리고'는 어떨까? '단어, 구, 절, 문장 따위를 병렬적으로 연결할 때 쓰는 접속 부사'이다.
정의만 봐도 차이가 보인다. '또한'에는 실질적인 의미가 있지만, '그리고'는 기능만 설명되어 있다. 부사는 문장 안에서 이동이 자유로운데 그때마다 수식하는 대상이 바뀌어 뜻이 바뀐다. 하지만 접속부사는 말 그대로 접속의 역할을 하므로 위치 이동이 자유롭지 않다.
이를 바탕으로 생각해보면 책 문장 속에서 '또한' 다음에 쉼표를 붙여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또한' 이 앞 문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위치를 고정해주는 것이다. 그 자체로는 접속부사처럼 쉼표의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자주 틀리는 맞춤법은 사전과 어문 규정을 자주 찾아보는 노력이 있어야 바로잡을 수 있다. 잘못된 사용법이 굳어지지 않도록 언어 사용자로서 우리 모두 책임을 다하도록 하자.
'수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 뭐가 잘못일까 (0) | 2022.01.16 |
---|---|
소설 속 번역체 표현 (3) | 2022.01.13 |
맞춤법 틀린 사례 '하루 종일'이 왜 틀렸을까? (2) | 2022.01.10 |
'~에 대해', '~있는 상황', '더이상' 쓰지 말아야 하는 이유 (2) | 2022.01.09 |
[맞춤법 검사] ① 조사를 줄여라? ② 일본어 투 표현 '~로 인해' ③ 순화어 (3) | 2022.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