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

왠지 웬지 이제 헷갈려 하지 마세요

문자를 주고받을 때 상대방이 틀린 맞춤법을 쓰면 호감이 떨어진다는 조사가 있습니다. 이 결과에 공감한 많은 사람 중에서도 자신이 맞춤법을 맞게 썼는지 고민하는 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 특히 '웬지'로 쓸지 '왠지'로 쓸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둘 중 어느 것이 맞는지 그리고 이유는 무엇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왠지는 줄임말 맞춤법이 헷갈릴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형태소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형태소는 뜻을 지닌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나무'는 한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낱말입니다. 만약 '나'와 '무'로 쪼개면 그 자체에는 아무 의미도 없기 때문입니다. (자신을 뜻하는 '나'와, 채소 '무'와는 소리만 같을 뿐이므로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초가을'은 초반을 뜻하는 '초'에 계절을..

수업자료 2022.01.23

뵐게요 봴게요

왜 '봴게요'가 아니라 '뵐게요'일까 뵈다: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 활용형 '뵐' "여기서 뵐 줄은 몰랐어요." '뵈다'는 다른 동사처럼 어미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용언이다. '뵈고, 뵈니, 뵈면, 뵌, 뵐' 등으로 변한다. 위 문장에서 '뵐'은 원형 '뵈다'에서 미래형 어미 'ㄹ'이 결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봴'이 아니라 '뵐'로 써야 옳다. 참고로 "내일 뵐게요." 또한 이 법칙에 따라 '봴게요'가 아니라 '뵐게요'가 맞다. 그 이유는 뒤에 과거형이 나올 때 설명하겠다. 활용형 '봬도' "저래 봬도 내부는 그럴싸하단다." "이래 봬도 내가 꽤 마당발이거든." 헷갈리는 건 줄임말이다. '뵈도'가 아니라 '봬도'인 이유는 '뵈어도'가 '봬도'로 줄었기 때문이다. 위 문장에서 쓰인 '봬도'는 원형 '뵈(다..

수업자료 2022.01.22

뵈요 봬요 맞춤법

뵈요 봬요 뵐 봴 뵈다 봬다 다음에 뵈요? 다음에 봬요? 자주 쓰는 인사말 '다음에 봬요/뵈요'를 문자로 보낼 때 누구나 헷갈린 적이 있을 것이다. '뵈요'가 맞을까, '봬요'가 맞을까? 그럴만도 한 것이 다른 활용형에서는 다음과 같이 쓰이기 때문이다. 윤석열 "박근혜 전 대통령 건강 회복되면 찾아뵐 것" [연합뉴스] 이때는 '봬'가 아니라 '뵈'로 쓰였다. 그렇다면 '봬요'가 아니라 '뵈요'가 맞을까?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뵈요'의 원형 '뵈다'를 찾아보면 이렇다. 뵈다 「동사」 【… 을】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 [예문] 그분을 뵈면 돌아가신 아버님이 생각난다. 저희가 일을 제대로 못 해서 사장님 뵐 낯이 없습니다. 그럼 저 이외에 같은 임무를 가지고 장군을 뵈러 온 사람이 있었단 말입니까?≪유현종, 들..

수업자료 2022.01.22

안돼 안되

안돼 안되 헷갈릴 수밖에 없다(우리말의 어려움) 안돼 안되 예문 보기 《어둠이여, 내 손을 잡아라》, 데니스 루헤인 "안됐지만 그건 비밀이라네." "아깝지만 던 경관은 스물다섯이 못 될 거야. 안됐어, 응?" "안됐군요. 이런 날 술이라도 한 잔 하면 좋겠는데." "부바, 그냥 보안시스템을 설치하면 안 돼?" 그런데 딸한테 그런 얘기를 편지로 써 보냈다고? 말도 안 돼. 익명으로 남고 싶다면 동네에서 포르셰를 모는 건 절대 안 될 말이다. "그냥 들어가서..... 물어보면 안 될까?" 《그녀는 다 계획이 있다》, 히가시노 게이고 "마루모토는 어떻게든 도어체인을 풀어보려고 했는데 잘 안됐어요." "지금 회사는 설립한 지 아직 1년 반밖에 안 됐거든요." "전화선이 아직 연결이 안 돼서요. 잠깐 전화 좀 쓸..

수업자료 2022.01.21

에요 예요 이에요 한글맞춤법

이에요 예요 에요 한 방에 정리 이에요 [예문 출처: 달러구트 꿈 백화점, 이미예] "다른 제자들은 전혀 관심 없던 그 시간 말이에요." "이 두 가지는 현재를 살아가는 데 너무도 중요한 것들이에요." "그저 가만히 누워 시간을 보낼 뿐이에요." "그건 바로, 모든 사람은 불완전하고 저마다의 방식으로 어리석기 때문이에요." "손님, 그건 다른 손님께서 예약하신 꿈이에요." "그건 어린 시절의 추억이에요." "척 데일의 '야릇한 꿈 시리즈'는 늘 매진이에요." "난 말이에요, 원래 신발만 만들던 꼬맹이들이 꿈 사업에 갑자기 뛰어든다고 할 때부터 마음에 안 들었어요." ‘이에요/이어요’는 복수 표준형이다. 예전에는 ‘이에요’를 많이 썼는데, ‘이어요’도 널리 쓰이므로 표준형으로 인정한 것이다. [한글맞춤법]..

수업자료 2022.01.20

최신 기사 맞춤법 [김건희 편]

김건희 관련 기사 살펴보기 맞춤법 1 [뉴시스] 재판부는 공적 영역에 관련된 내용과 무관한 김 씨 또는 윤 후보를 비롯한 김 씨 가족들의 개인적인 사생활과 관련된 발언은 공개해선 안 된다고 결정했다. 사생활이 '개인의 사사로운 일상생활'을 뜻하므로 앞에 '개인적인'을 쓸 까닭이 없다. 겹말 오류이다. 맞춤법 2 재판부는 "김 씨는 윤 후보의 배우자로서 언론을 통해 국민적 관심을 받는 공적 인물"이라며 "김 씨의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견해와 언론·권력 관은 유권자들이 각자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이를 참고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들이다"고 전제했다. ① 복수 접미사 '들'을 추상명사에 붙이면 좋지 않다. 다른 잘못된 예로는 '시간들'이 있다. [해설 출처: 부산대 맞춤법 검..

수업자료 2022.01.20

맞춤법 변질됐다/변질했다

인용 도서 《스토아 수업》 라이언 홀리데이, 스티븐 핸슬먼, 조율리(번역) 맞춤법 1 언제부턴가 철학은 똑똑한 사람이나 쓰는 번지르르한 말, 상대가 쉽게 내 말을 이해할 수 없도록 하는 역설적 수사나 수수께끼 따위로 변질됐다. '하다'와 결합하여 자동사가 되는 명사에 '되다'를 붙여 자동사로 만들지 말아야 합니다. '되다'를 지나치게 자주 쓰는 습관은 일본어와 영어의 영향입니다. [해설 출처: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이하 동문]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변질하다'와 '변질되다'가 모두 실려 있다. '변질하다'의 첫 번째 뜻은 '성질이 달라지거나 물질의 질이 변하다'이다. 뜻에서 알 수 있듯이 동사의 주체가 '성질, 물질의 질'로 비인격이다. 그러므로 평소 사용할 때도 주어가 비인격이라고 해서 굳이 '되..

수업자료 2022.01.19

김건희 방송 관련 기사 살펴보기

김건희 방송 관련 기사 살펴보기 1. SBS 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607354&plink=ORI&cooper=NAVER]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오늘(17일)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배우자 김건희 씨의 '7시간 통화' 녹취 방송을 접한 뒤 "윤 후보를 커튼 뒤에서 조종하는 김건희 씨는 마구 내지르는 최순실보다 훨씬 은근하고 영악하다"고 말했습니다. 개정된 문장 부호 사용법(2014년 12월)에 따라 직접 인용일 때는 따옴표 뒤에 직접 인용 조사 '-라고/-라며/-라는' 형태로 써야 한다. 직접 인용은 위 예시처럼 겹따옴표를 이용해 상대의 말을 그대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반면, 간접 인용은 원문의 형식을 그대로 빌리지 않고 내..

수업자료 2022.01.18

통가 화산 기사 살펴보기

통가 화산 기사 발행 현황 1. 뉴시스 다음은 뉴시스에서 발행한 기사의 일부이다. 그러나 국제적십자사연맹(IFRC)은 해저화산 폭발로 인한 화산재와 쓰나미로 통가 주민 10만 명 중 8만 명이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117_0001726726&cID=10101&pID=10100] 이 문장에서 바로잡을 부분은 두 군데 있다. 먼저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는 표현이 잘못되었다. 피해는 한자어로 직역하면 '손해를 입다'는 뜻이다.[被 입을 피, 害 해칠 해]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아도 '생명이나 신체, 재산, 명예 따위에 손해를 입음. 또는 그 손해.'라고 정의되어 있다. 그러므로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는 문구는 '역전 앞', '..

수업자료 2022.01.17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 뭐가 잘못일까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 쓰기는 한국어, 문장 구조는 영어 한국어에 번역 투 표현이 침투하다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를 영어로 바꾸면? 외래어만 줄인다고 우리말을 지키는 게 아니다. 차라리 외래어는 첫눈에 구분되기 때문에 바로잡기 편하다. 진짜 무서운 건 번역 투이다. 영어 문장 'Have a good time.'을 직역한 말,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를 생각해보자. 사실 한국어 체계에서 이 문장은 좀 어색하다. 한국어는 영어보다 훨씬 문장 성분의 생략이 자유롭다. 예를 들어 '사랑해'를 보면 말하는 사람이 '나'이고 듣는 사람이 '너'라는 게 확실하면 그냥 '사랑하다'라는 동사만 활용해도 문장이 완성된다. 반면 영어에서는 'I love you'라고 표현해야 완전한 문장이 된다. 주어, 동사, 목적어가..

수업자료 2022.01.16
반응형